✨ 목표
- 책 '플러터 앱 프로그래밍' p.63~68 학습
✨ 이해한 것
- 플러터앱을 구성하는 위젯은 크게 2가지, 스테이트리스(stateless) | 스테이트풀(statefull)로 구분.
- stateless : 상태관리를 감시할 필요가 없는것, StatelessWidget 클래스 상속.
- statefull : 상태관리가 계속 이어져야 함. StatefulWidget 클래스 상속. 항시 지켜봐야함으로 메모리나 CPU등의 자원을 많이 소비함.
- Flutter의 기본 배경은 검은색. 검은색 도화지 위에서 하나하나 그려나간다고 생각. contents는 좌측 상단에서부터 우측하단방향으로 내려옴.
- 위젯을 하나만 넣을때는 child 옵션, 여러 위젯을 넣으려면 children 옵션을 사용.
- CSS 처럼 속성을 넣을때는 '속성옵션: 속성.값' 형태로 들어감.
✨ 이해 안되는 것
- 없음!
✨ 소감
- 스타일 넣는 방법이 정말 완전히 달라서 신세계를 체험하는 느낌이다. 새롭고 재밌으면서 이것이 Dart, 안드로이드의 특징인가 싶다. 재밌으면서 정말 신선한 충격을 매번 얻어(?)맞는중.
'Flutt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Flutter] 코딩 스터디 10회차 | main.dart 뜯어보기 (4) (0) | 2022.09.14 |
---|---|
[Flutter] 코딩 스터디 9회차 | main.dart 뜯어보기 (3) (0) | 2022.09.12 |
[Flutter] 코딩 스터디 7회차 | main.dart 뜯어보기(1) (2) | 2022.09.07 |
[Flutter] 코딩 스터디 6회차 | 스트림 그리고 Dart 도전 (0) | 2022.09.04 |
[Flutter] 코딩 스터디 5회차 | JSON 데이터 주고받기 (0) | 2022.09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