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Flutter

[Flutter] 코딩 스터디 10회차 | main.dart 뜯어보기 (4)

by 륜곰 2022. 9. 14.

 목표

  • 책 '플러터 앱 프로그래밍' p.74~84 학습.

 

 이해한 것

[ 버튼 생성하기 두번째 ]

  1. 엊그제 스위치가 클릭이 되도 안되더니, switchValue 변수의 위치를 Widget 밖으로 빼보니까 잘 작동한다. 이런...ㅋ
  2. 정말 신기하다. 마치 HTML에 인라인으로 자바스크립트 넣는 기분과 자바스크립트로 DOM 탐색후 innerHTML을 동시에 수행하는 느낌인데 이게 기본동작원리라니...
  3. child 안에도 child 선언이 가능하다. 느낌상 child > child 이런식으로 가능하다는 느낌같음.

버튼 클릭시마다 변경된다.

[ 위젯의 생명주기 ]

  1. 스테이트리스 위젯은 갱신불가로 생명주기가 없음. 화면 넘어가는 순간 꾀꼬닥. 그러나 10단계의 생명주기가 있음.
    1. 상태 생성, createState()
    2. 위젯을 화면에 장착, mounted == true
    3. 위젯을 초기화, initState()
    4. 초기화 후 바로 호출, didChangeDependencies()
    5. 화면표시 build()
    6. 위젯갱신, didUpdateWidget()
    7. 위젯상태 갱신, setState()
    8. 위젯 상태관리 중지, deactivate()
    9. 위젯 상태관리 완전히 중지, dispose()
    10. 위젯을 화면에 제거, mounted == false
  2. 위 10단계의 주기를 기억하면서 앱의 시작과 끝을 숙지해야할듯.

 

[ 깃허브 레포지토리 생성 ]

스터디 선생님과 Dart 코딩으로 질답 및 소통 주고받을 새로운 레포를 개설하였다.

​나름 프로필 보호를 위하여 모자이크를....ㅎㅎ 이제 추가적으로 내 깃허브에 Dart가 올라갈것을 생각하니 새로운 기분이다.

 

 

 이해 안되는 것

  1. 엊그제 슬라이드 버튼이 클릭이 안되서 뭔가 문제인가 싶더니 변수 위치가 문제였던 것으로 이해는 해결 완. 나름 클로저 문제였던것 같다.

 소감

  • Dart의 생명주기는 React의 상태관리랑 비슷한 느낌이 있는것 같다. 서로서로 연관된 프로세스를 익히다보면 언어간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될것 같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