✨ 목표
- 책 '플러터 앱프로그래밍' p.48~49 학습
✨ 이해한 것
- 라이브러리를 추가할 때는 dart:라이브러리명 형태. (ex. dart:convert)
- List 형태의 자료형...? is가 자바스크립트의 typeof 느낌인가보다.
- JSON 형태를 Response 받기 위해서는 convert 라이브러리의 jsonDecode() 함수를 써야함.
- 서버로 데이터를 보낼때는 jsonEncode() 함수를 써야 함.
- JSON으로 응답할때 ' ' (작은따옴표)를 object의 키값에 넣을때는 '변수'로 인식, " " (큰따옴표)를 키값에 넣을때는 JSON 데이터임을 표시.
✨ 이해 안되는 것
- dynamic 형식의 리스트가 뭐지...?
- 이해한것의 5번이 이해가 안된다... 일단 외우려고 암기하듯 적긴 했지만... JavaScript가 주 언어인 입장에서 큰따옴표 작은따옴표를 혼용하는것이 에러를 발생시키지 굳이 둘의 쓰임새에 대해 차이가 없었는데, 혼란이 오기 시작함.
✨ 소감
- 두페이지밖에 안되서 정말 쉽게 생각했는데 파싱방법이 JavaScript랑 살짝 다른것 같아서 약간 혼란이 오고있다. 아무래도 적절한 예제를 통해서 실습작업을 해봐야지 확실히 와닿을것 같다.
'Flutt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Flutter] 코딩 스터디 7회차 | main.dart 뜯어보기(1) (2) | 2022.09.07 |
---|---|
[Flutter] 코딩 스터디 6회차 | 스트림 그리고 Dart 도전 (0) | 2022.09.04 |
[Flutter] 코딩 스터디 4회차 | Dart의 비동기처리 (0) | 2022.08.31 |
[Flutter] 코딩 스터디 3회차 | Dart의 9가지 중요한 특징 (0) | 2022.08.29 |
[Flutter] 코딩 스터디 2회차 | 시작은 초록깡통 스튜디오 (0) | 2022.08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