(이름이 사용되어진 칭구 형렬쿤... 제일먼저 자네 이름이 생각나서 적었다오 땡큐)
✨ IP란 무엇인가...
- IP란 기본적으로 Internet Protocol Address를 줄여서 IP라고 불림.
- 이중 Protocol은 통신장비등이 체계적으로 소통하기 위해 준수해야할 규칙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말인즉 인터넷 주소의 약속이라고 볼 수 있음.
- 기본적으로 컴퓨터, 스마트폰, IOT(사물인터넷)등 인터넷을 접속할 수 있는 스마트한 기기들에는 고유한 주소가 붙음.
- 전화기로 비유할 수 있다. 각자 고유한 전화번호를 가지고 소통을 하는것에 비유하면 각 인터넷 접속하는 기기들에게는 고유의 IP라는 전화번호를 가지고 있는 셈.
✨ IP 주소
- 내 컴퓨터의 IP주소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구글등에서 'my ip'로 검색하면 해당 사이트에서 내 IP 주소를 알려줌.
- 그래서 쉽게 알아보고 외우기 편한 주소가 등장, 이것이 바로 도메인, DNS (Domain Name Sysyem)이라 불림.
- 도메인은 인터넷상의 Name Server에 저장되어있고 인터넷을 사용하는 기기들은 기본적으로 이 서버를 알고 있음.
- 우리가 해당 IP주소로 접속하거나 도메인으로 접속해도 똑같은 페이지를 볼 수 있음.
- 내가 어떤 사이트를 접속한다고 했을때는 다음과 같은 과정이 일어남
-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로 티스토리 사이트 접속을 위해 브라우저에 http://www.tistory.com 입력
- 컴퓨터는 Name Server에 접속하여 tistory.com 이라는 도메인을 가진 IP주소를 찾아서 내 컴퓨터로 해당 도메인의 IP주소를 보냄
- 컴퓨터가 티스토리의 IP주소를 확인하고 해당 IP의 주소로 찾아 들어감
- 티스토리는 내 컴퓨터에게 html로 이루어진 홈페이지를 전송함.
- 내 컴퓨터 화면에 티스토리의 html 소스코드가 보여지게 됌.
- 해당과정이 일어나는 이유 : 컴퓨터는 도메인을 인식하지 못함. 그렇기에 Name Server에 접속하여 해당 도메인에 할당된 IP주소를 받아오는 것임. IP주소가 실제 찐 주소인 셈.
✨ IP의 단점, 그리고 두 가지의 해결방안
- 각 인터넷 기기에 주어지는 IP주소에는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함 → 숫자로 이루어진 주소는 쉽사리 외울 수 있는것이 아님...
- IP 주소는 0.0.0.0 ~ 255.255.255.255 사이의 숫자주소에서 할당이 되고, 해당 경우의 수는 약 42억개.
- 그러나 매우 적은 숫자. 전세계 인구가 70억인것만 생각해도 매우 적은 숫자이고, 컴퓨터뿐만 아니라 스마트폰, 사물인터넷에 연결되어있는 전구 등에도 IP주소가 할당되기 때문에 매우 적은 숫자.
- 결국 2011년경 42억개의 모든 주소가 사용되는 사태가 발생, 전문가들은 IP주소 고갈문제를 찾게 됨.
- 원래 쓰이던 IP주소는 IPv4라고 불리는 버전의 IP주소, 여기에 소문자들을 추가하게 되어 2의 128승이라는 어마어마한 경우의 수를 가진, 한글단위 약 2823구...라는 경우의 수를 가지게 된 IP주소를 고안. 해당 IP를 IPv6라고 부르게 됨. 향후 몇천년까지도 문제없으리라는 체계로 IP고갈의 첫번째 대응 방안.
- 두번째 대응방안은 포트(Port)이다. 사설 IP. 인터넷은 원래 한 회선당 하나의 인터넷선이 들어가야 하는데, 이러면 회선당 납부해야하는 인터넷비가 매우 커짐. 그래서 우리는 공유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선 하나로 여러기기를 나누어 씀. 그러나 내 컴퓨터에 서버를 웹서버를 설치하여 접속하라고 뿌린다 하여도 그 IP는 공유기의 IP라서 내 서버에 직접적으로 들어오게 하지는 못함. 그렇기에 공유기에 내 서버에 해당되는 '문'을 열어달라 요청하고, 그것이 바로 포트. 웹서버는 대개 80번 포트를 이용하게 되며 IP주소 뒤에 :80 의 형태로 할당됨.
'Front End > we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hub 입문 | 스테이지로 올라와 (0) | 2022.03.31 |
---|---|
모놀리식 아키텍쳐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쳐 | 백엔드 입문 (0) | 2022.03.30 |
URL | 웹동산 등기부등본 떼러왔어요 (0) | 2022.03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