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Front End/web

URL | 웹동산 등기부등본 떼러왔어요

by 륜곰 2022. 3. 30.

URL을 뭐라고 정의할 수 있을까?

URL은 얼추 다음과 같은 형태로 보여지게 된다.

(1)_https://www.nowonlib.kr/bbs/content/1\_16939?subject\_code=16&mId=501010100
(2)_https://ko.javascript.info/intro#ref-42

인터넷을 볼때마다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주소들 이기도 하다. 그리고 이 종류는 크게 5가지로 나뉠 수 있다.

  1. protocol
  2. domain
  3. file directory & file name
  4. parameter
  5. flagment

하나하나 차근차근 알아보자

Protocol

  • 크게 두가지로 나뉠 수 있음
  • http : html 문서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 방법으로 일반적. 클라이언트(user)와 서버(접속하는 컴퓨터) 사이에 요청이 이루어 지는 것.
  • https : http의 보안이 강화된 버전. 통신에서 이루어지는 데이터를 텍스트가 아니라 SSL이나 TCL을 통해 암호화된 통신으로 주고 받는다. 대개 보안이 필요한 메일, 은행, 카드서비스 홈페이지 등에서 사용 됌.

Domain

  • 네트워크 상의 컴퓨터 주소를 뜻하며 앞서 간단히 소개했듯 인터넷상의 등기부등본이라 볼 수 있음.
  • domain 전체에는 국가나 기관의 정보, 호스트 정보가 기입됨.
  • 각 정보는 점으로 구분 가능, 뒤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확인 가능.
  • 순서는 대개 상위 도메인, 도메인이름, 호스트명으로 이루어져 있음.

File directory & file name

  • file의 도메인에 해당하는 웹 서버를 기준으로 제공하는 페이지가 속한 주소를 표현하는 것.

Parameter

  • 페이지의 내용이 변동이 많을 때 사용 됌.
  • url의 파일명 뒤 물음표 이후에 나열됨. 이름과 값으로 구성된 세트가 1개 이상 존재 가능하며, 세트는 엔드(&)기호로 구분.
  • url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로 나뉘기도 한다. 해당 parameter를 통해 검색, 다른 블로그 유입 등으로 통해 들어왔는지 구분이 가능.
  • file directory와 file name 역할을 하기위한 정보로도 사용이 가능하다. 예를 들어 게시물 번호 수정 등을 통하여 페이지 변경이 가능.

Flagment

  • 해당 페이지의 태그로 이동하는 수단.
  • id 위주로 이동을 하게 되며 지정된 id 위치로 스크롤 없이 다이렉트로 이동 가능함.